[경인종합일보 전경만 기자]<전경만의 Human Story> 경기도의회 박근철 의원“ 민주주의에 대한 목마름으로 정치를 시작”

“대부분의 80년대 학번들이 겪었던 시대상황은 암울했었다. 군사독재정권의 강압은 거칠었으며 이에 대항하는 학생들은 탄압이 거세질수록 단단해졌었다. 과거 활동했었던 전국대학생대표자협의회(이하 전대협)소속의 일원으로 당시 민주주의에 대한 목마름으로 활동했었던 것을 자랑스럽게 생각한다”며 경기도의회 박근철 의원(더민주당, 보건복지위)은 말문을 열었다.

박 의원은 오랜 민주당 경력을 가지고 있었지만 의원생활은 이번이 처음이다. 외부에서 느꼈던 경기도의회 의원과 직접 자신이 겪고 있는 의원생활은 차이가 난다는 박 의원은 “의원이 되기 전에는 도의원들을 노는 사람들로 인식했었다. 그러나 도의원이 되고 나서 이런 생각을 바꾸게 됐다. 경기도 전체를 아우르는 도정활동은 시간을 쪼개어 생활해야 할 만큼 바쁘다. 일당백의 정신이 아니고 일당백처럼 실제생활이 바쁘다. 그것이 경기도 의원생활이다.”고 말했다.

이어 박 의원은 “전반기에는 초선의원이지만 과분한 일들을 많이 했다. 경기도의회 운영위원회 소속인 동시에 보건복지위 소속 의원이며 또 간사다. 그리고 예결위원회 소속이기도 하다. 전반기를 어떻게 보냈는지 검토해 볼만한 시간도 없이 바쁘게 생활했다. 지금 연정을 하고는 있지만 남경필 지사의 정무적인 판단에 대해 제어할  필요가 있고 해야만 하는 것이 경기도의회의 역할이다. 특히 운영위원회의 역할은 지대하다, 공부를 안하면 이것 마저도 못하기 때문에 일을 하는 것인지 공부를 하는 것인지도 모르게 시간이 흘러갔다”고 말했다.

보건복지위 소속으로 경기도의 보건 수준에 대해 말을 해 달라고 하자 박 의원은 “ 경기도의 보건 수준을 한 마디로 다 표현하기는 뭐 하지만 굳이 말한다면 ‘미흡’이라는 표현을 쓰고 싶다. 지난해 메르스 사태 당시 경기도에서 드러난 문제점을 보면 중앙정부와 광역정부 그리고 지방자치 단체를 연결하는 매뉴얼이 없었다. 특히 중앙과 자치단체를 연결하는 경기도가 연결고리로서 역할을 해야 했지만 시스템과 인력 모두 부족했다. 그래서 전반기에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5분 발언도 하고 남 지사에게 경기도의 상황에 맞는 보건연구단체를 설립해야 한다고 요구했다”고 밝혔다.

또한 보건복지위와도 관계가 있는 누리과정예산에 대해 박 의원은 “지난 2012년 대선 과정에서 현 박근혜 대통령은 스스로 ‘보육은 국가에서 책임을 져야 한다’는 발언을 해 표를 얻었다. 그러나 당선이 되고 난후 누리과정에 대한 사업만 교육청으로 넘어왔을 뿐 그에 따른 예산은 넘어오지 않았다. 예산 없는 사업을 교육청이 할 수는 없는 일이다. 그것도 매년 5000억이 소요되는 사업을 교육청 예산으로 전담하라는 것은 억지 주장에 가깝다. 누리과정 예산은 정부에서 나와야 한다. 그리고 지금 이원화 되어있는 어린이집과 유치원이라는 두 기관의 통합을 위한 거대 담론이 필요하며 실무적인 접촉도 필요하다. 교육청이 보건복지부 소속도 아니면서 사업까지 맡는 것은 행정적으로도 옳지 않은 일이다”고 말했다.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개헌 문제에 대해서도 박 의원은 명쾌하게 소신을 밝혔다. 박 의원은 “지금 개헌 논의가 진행 중에 있지만 방향성에 대해서는 논의를 해봐야 한다. 우리가 지난 80년대 대통령 직선제를 쟁취하기 위해 반독재 투쟁을 벌였지만 결코 대통령에게 권력을 집중해주자고 한 것은 아니었다. 과거보다 민주화가 많이 진행된 만큼 이제는 대통령의 권력을 분산시킬 수 있는 개헌의 방향을 생각해 볼 때다. 그리고 개인적으로는 총리의 힘을 키울 수 있도록 했으면 한다.”고 밝혔다.

한편, 인터뷰 말미에 들어서자 박 의원은 “전반기에 경기도의회에서 바쁜 일정을 보냈다. 아직 후반기 상임위원회가 정해지지는 않았지만 후반기에는 문광위나 기재위쪽 일을 해보고 싶다. 그러나 저는 어디서 무엇을 하느냐 보다는 누구와 무엇을 함께하는 지가 더 중요하다는 소신을 가지고 사는 사람이다. 어떤 상임위에 배정된다 할지라도 내 역할을 찾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다”며 인터뷰를 마쳤다.

저작권자 © 경인종합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