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인종합일보 전경만 기자]


세계2차 대전이 끝나고 파리에 입성한 드골은 독일에 협력한 수많은 프랑스인들에 대한 단죄를 시작한다. 그 단죄는 지나치다 싶을 정도로 엄격했다. 독일에 협력했던 비쉬정부 종사자는 물론 부역자까지도 엄하게 처벌했다. 당시 이들을 처단한 패랭 검사는 “프랑스에서는 15만명의 프랑스인이 나치 인질이 되어 처형당했으며 75만 명의 노동자들이 독일 군수공장에 끌려가 강제노역에 동원됐다. 그리고 11만명의 정치사상범들이 유배됐으며 10만에 이르는 사람들이 인종차별로 강제수용소에 이송됐다. 이들 중 단1500명만 다시 프랑스로 귀환했다”며 나치부역자들에 대한 처벌을 단행했다.

프랑스가 나치부역자들을 처벌하면서 특히 언론인과 재벌들에게 가혹했다는 것은 유명한 일화다. 프랑스 정부는 “나치독일과 협력해 얼마나 많은 돈을 벌었는지에 대한 문제보다 얼마나 더 나치 독일에 협력해 국가에 해를 끼쳐는 지가 더 중요한 문제다”며 독일에 협력했던 재벌들의 재산을 몰수 하고 국유화 했으며 언론에 대해서는 3년의 점령기간 동안 15일 이상 신문을 발행한 거의 모든 신문사를 폐간시켰으며 기자들을 처형했다.

프랑스 정부는 언론종사자들을 처벌하며 언론 종사자들이 항변한 “우리는 아무 것도 하지 않았다”라는 변명에 대해 “아무 것도 하지 않은 것은 동의다. 많은 사람들에게 지대한 영향을 끼치는 언론이 침묵했기 때문에 많은 프랑스인들이 혼동을 일으켰다”며 공민권을 박탈하는 가혹한 처벌을 했다.

3년의 프랑스 점령기간 동안 이렇게 처벌된 나치 독일 부역자는 프랑스 전체인구의 5%에 해당하는 200만 명의 사람들이 처벌됐다. 그중 4만에 가까운 사람들이 형장으로 직행했다. 나치부역자 처벌을 주도 했던 그들은 “민족반역자에 대한 처벌 시효가 있을 수 없으며 앞으로의 프랑스는 외부의 점령자들에 의해 프랑스가 단기 지배당할 수는 있어도 내부점령자들에 의해 지배당하지는 않을 것이다”고 했다. 그렇게 해서 오늘날의 프랑스는 완성됐다.

반면 한국은 36년 동안 일본으로부터 지배당하고 난 뒤 일본부역자들에 대한 처벌을 단행하지 못했다. 그 결과는 비참했다. 일본에 부역한 언론은 지금도 신문을 발행하며 한국의 정치에 대해 왈가왈부를 하며 언론의 자유를 말하고 있으며, 일본과 협력해 부를 쌓은 재벌들은 자본을 앞세워 면피를 시도하고 있다. 그러다 보니 언론인들과 문학인들조차 함께 친일부역에 대해 스스로 부끄러운 줄 모르고 날뛰고 있다.

대동아공영을 찬양하며 조선의 젊은이들에게 가미가제 특공대가 되어야 한다고 詩까지 써가며 목 놓아 외쳤던 문학인의 아호를 딴 상까지 있으며 그 상을 받으려고 글을 쓰는 풍토까지 있다. 그리고 그것에 대해 제재하지 않는 정부와 정치인 언론인들이 지금 이 땅에 버젓이 함께 살고 있다. 그러다보니 느닷없이 친일에 앞장섰던 최남선과 이광수를 위한 상까지 제정하자는 말이 나오는 것이다. 여론에 밀려 상을 제정하지 않겠다고 했지만 부끄러운 줄 모르는 민족이다.

조선의 22대 임금 정조는 “말하지 말아야 할 때 말하는 것은 그 죄가 작으나 말해야 할 때 말하지 않는 것은 그 죄가 크다”며 신하들을 다그쳤다. 그것이 언론의 역할이며 할 일이다. 말을 해야 할 때 제대로 해야 다시는 친일의 부역자들이 대한민국에 발을 붙일 수 없을 것이다. 더운 여름날이다.
저작권자 © 경인종합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