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인종합일보 전경만 기자]

과거 수원 광교산 근처에는 여든 아홉 암자를 거느린 큰 절이 있었다고 한다. 고려말의 승녀 진각국사가 광교산 창성사에서 입적했다는 기록으로 보아 수원에 있었다던 창성사는 화업종으로 보인다. 화엄종의 본찰로 알려진 합천 혜인사는 열여섯 개의 암자를 가지고 있다. 창성사가 여든 아홉 암자 이었다는 것은 사찰의 규모가 어마어마했음을 암시해준다.

기록에 따르면 진각국사 배천희는 화엄종 승려로 고려 공민왕 때 국사를 지낸 고승이다. 고려시대의 화엄종은 대표적인 4대 종파에 속했지만, 고려 후기에는 그 종세가 타 종파에 비해 약한 편이었다.

화엄종 승려였던 진각국사는 원나라 유학을 통해 선종의 선법을 익히기도 했다. 공민왕 16년에 국사에 책봉된 그는 고려후기 국사에 책봉된 유일한 화엄종 승려였다. 아마 화엄종 출신 신돈의 추천이나 도움이 있었을 것으로 추측되며, 그의 선교겸수 또한 그가 국사에 책봉되는 한 배경이었을 것이다.

그러나 조계종이 우위를 차지하고 있던 당시에 화엄종 출신의 국사 활동은 자유롭지 못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진각국사는 부석사에 주석하게 된 공민왕 21년부터 몇 년 동안 부석사 중수 불사에 힘을 쏟아 복구를 완성했다. 화엄종 발전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했던 진각국사의 희망이 부석사 중수 불사로 표출된 것이었다고 본다. 이후 진각국사는 부석사 중창을 마치고 1386년에 수원 광교산의 창성사에서 입적했다.

또한 화엄종 사찰이 있는 곳의 산 정상에는 거의 비로봉이 있다. 그것은 화엄종이 비로나자불을 모시기 때문이다. 광교산 정상에도 비로봉이 있으며 광교산 비로봉에서 바라보는 창성사터는 양팔을 벌리고 있는 사람모양을 하고 있다. 풍수지리에 정통하지 않아도 당연히 사찰이 있었을 것으로 보이는 지형이다.

최근 수원시는 창성사에 관심을 가지고 일부 유적을 복원하려 하고 있다고 한다. 늦었지만 참 다행스러운 일이다. 이미 수원은 세계문화유산 수원화성을 가지고 있으며 복원사업도 착실하게 진행하고 있다. 여기에 전국제일의 사찰마저 복원된다면 수원의 문화융성이 전국을 압도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수원 화홍문 옆에 있는 진각국사의 탑비도 제자리에 돌려놔야 할 것이다. 진각국사 탑비를 왜 광교산에 화홍문 옆으로 옮겼는지 구체적인 이유를 아는 사람은 없다. 다만 지금이라도 탑비를 원래의 자리에 놓고 보존에 더 신경을 써야 할 것이다.

창성사가 사라진 이유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지만 그중 청나라와의 전투로 인해 사라졌을 것이라는 설이 유력하다면 국가적 사업으로 지정해 복원에 힘을 보태야 한다.
저작권자 © 경인종합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