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인종합일보] [칼럼] 노인의날을 앞두고 어르신을 생각한다

노인(老人)은 나라의 어른이다. 노인은 우리를 낳아 기르고 문화를 창조 계승하며 국가와 사회를 수호하고 발전시키는 데 공헌하여온 어르신으로서 국민의 존경을 받으며 노후를 안락하게 지내야 할 분들이다. 지난60년 간 대한민국 국민은 산업화와 민주화를 거치면서 세계에서도 유사한 사례를 찾기 힘든 성공의 역사를 일궈왔으며, 우리가 지금 누리고 있는 자유롭고 풍요로운 삶이 어르신들의 땀과 눈물의 결실이 있었기에 가능했다는 것은 누구도 부인할 수 없다. 그러나 인구고령화와 사회구조 및 가치관의 변화는 점차 노후생활을 어렵게 하고 있다.

금년 8월31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6년 인구주택 총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65세 이상 인구는 677만 5천명으로 1년 전보다 20만 6천명이 증가 했다고 한다. 한국 사회는 한마디로 빠르게 늙어가고 있는 노인들의 나라가 된 것이다. 특히 열 집 중 한집은 65세가 넘은 노인들만 사는 가구로 나타났으며, 2017년 현재 우리나라 평균수명도 81세로 크게 늘어났다. 흔히 어르신들에게는 다섯 가지 고통이 따른다 하는데 경제적 빈곤, 외로움, 건강문제, 사회적 역할 상실, 시대 변화와 흐름에 뒤처짐이 바로 그것이다. 자원순환사회연대에 따르면 폐지를 줍는 노인의 수는 전국에 약 175만 명으로 추정된다고 한다. 이는 만65세 이상 고령자수 707만 명 대비 25%수준으로 노인들의 경제력빈곤을 보여주는 안타까운 지표이다.

그러나 아무리 우리사회가 변한다고 하여도 인간만이 할 수 있는 효(孝)는 백행의 근원이고 나의 아버지, 어머니가 가족과 사회 구성원들로부터 존중 받아야한다. 효와 존중의 결실은 안정된 노후생활이며 이를 위하여서는 다양하고 실질적인 복지정책이 지속되어야 한다. 100세 시대를 바라보는 요즘, 고령화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책이 철저히 강구되고 마련되어야 한다. 우리는 경로효친(敬老孝親)과 인보상조(隣保相助)의 미풍양속을 가진 국민으로서 이를 발전시켜 노인을 경애하고 봉양하여 노후를 영위할 수 있도록 노인 복지증진에 힘써야 한다.

2026년이면 우리나라 인구 다섯 중 한명이 노인인 초고령사회가 된다고 한다. 이제는 생존이 아닌 삶의 질이 중요한 과제로서 장수시대가 축복이 되려면, 질병과 생활고에 시달리는 어르신들의 문제가 해결되어야 한다. 그러나 노인들은 사회의 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이나 주변 환경이 열악하기 때문에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 이에 우리 군포시의회에서도 지역 어르신의 눈높이에 맞는 다양한 복지정책을 발굴하고 지원하는 등의 다각적인 노력을 통하여 “노인이 행복한 군포시, 노인들이 노후에 가장 살고 싶어 하는 대한민국 으뜸도시 군포시”를 만드려 한다.

우리의 노인들은 전통적인 가족제도상에서는 부양을 가족이나 친척들이 맡아야 한다고 보아 그간 정부에서는 소극적인 정책 위주였다. 또한 노인문제를 지금까지 피부에 와 닿는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하지 않고 있었다. 초고령화사회로 진입하면서 노인문제에 대한 심각성을 깨닫고 정책을 마련하다보니 미흡한 느낌을 지울 수 없는 것이다. 노인인구의 증가는 중장기적으로 정치와 경제, 사회, 문화 등 모든 분야에 걸쳐 근본적인 변화를 일으킬 것이다. 특히 노인인구 전체가 곧 유권자들이기 때문에 이들의 ‘표’가 결집할 경우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 이제 노인들만의 문제가 아닌 모두의 문제로 국가, 지방자치단체, 지역사회, 개인 등을 막론하고 함께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해야 할 때다. 초고령화사회를 단순히 노인 인구의 증가만으로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ㆍ경제ㆍ문화 등 전반적인 부문에서 만반의 대비책을 강구해야 한다.

어르신이 행복하지 않고 자식세대가 행복해질 수는 없다. 노인의 날에만 노인문제를 생각하는 것이 아닌 사회문제로써 노인문제를 평소 깊이 있게 고민하여 모든 노인이 바라는 그러한 정책이 나왔으면 하는 바람이다. 오늘도 고향에 계신 우리 어머니를 생각하면 가슴이 아려온다. 이번 추석에는 꼭 찾아뵙고 어머니의 향기를 오래도록 맡고 싶다.

저작권자 © 경인종합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