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인종합일보 이승수 기자] 수면장애로 2016년 생산성 손실액 11조원…경기도는 2조6000억


- 경기硏 ‘경기도 수면산업 육성 위한 실태조사 보고서’ 밝혀

- “중앙정부, 첨단수면산업 육성 지원정책·전략 수립해야”


2016년 기준 수면장애로 인한 경기도의 생산성 손실액이 연간 2조6000억원에 달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경기연구원은 28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경기도 수면산업(Sleep industry) 육성을 위한 실태조사 및 정책방안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수면산업이 해외에서 슬리포노믹스(Sleeponomics: Sleep+economics)와 슬립테크(Sleep-tech: Sleep+technology)란 신조어가 등장할 정도로 거대 시장을 형성하고 있으며, 최근엔 첨단기술과 융합을 통해 미래 성장 동력산업으로 떠오르고 있다.

실제로 국내외 수면산업 규모를 분석한 결과, 미국 400억 달러(45조원), 중국 2250억 위안(38조원), 일본 8600억 엔(9조원)에 달한 반면 국내 수면산업 규모는 2조원에 불과해 그 격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2016년 기준 국내 수면질환 유병자는 88만3000명으로 집계됐으며, 이로 인한 진료비 손실은 1178억원으로 분석됐다.

특히 2016년 기준 근로자들의 수면장애로 인한 전국 생산성 손실액은 11조497억원, 경기도 내 생산성 손실액은 2조6470억원으로 추산됐다.

이은환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수면장애의 유병률 증가와 함께 양질의 수면욕구가 맞물리면서 수면산업이 미래 신성장 동력사업으로 각광받고 있다”며 “중앙정부 차원에서 첨단수면산업 육성을 위한 지원정책과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경기도 수면산업 육성방안으로 △수면산업 육성 위한 인프라 구축 △해외진출 및 시장 확장을 위한 신기술 경쟁력 강화 △수면산업 생태계 조성 △수면산업 활성화 위한 제도적 지원 등을 제안했다.

이 연구위원은 “침대, 매트리스 등 수면산업 제품들은 인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허가 기준에 대한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며 “최근 논란이 된 라돈침대처럼 검증되지 않은 기능성 수면제품에 대해서는 의료기기에 준하는 수준으로 기준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저작권자 © 경인종합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