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인종합일보 이한준 기자] 경기硏 “경기도민, 공유경제 경험자 비율 2년 새 2배 증가”



경기도 공유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해선 공유단체 및 공유기업을 체계적으로 지정하고, 경기도 공유경제 홍보플랫폼 구축, 경기도 공유경제 브랜드 아이덴티티(BI) 제작 등 지원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경기연구원은 17일 이같은 내용의 ‘경기도 공유단체·공유기업 지원 및 활성화 방안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스마트폰, 위치기반기술, 사물인터넷 등의 기술혁신과 플랫폼기업의 등장에 의해 공유경제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 분야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도는 2015년부터 공유경제 활성화를 위해 경기도 공유단체·공유기업 지정을 추진하고 있다.

공유경제에 대한 경기도민 인식을 조사한 결과, 공유경제 인지도는 2016년 46.2%에서 2018년 49.9%로 소폭 증가했다.

공유경제를 인지한 사람 중 공유경제를 경험한 사람의 비율은 같은 기간 동안 34.6%에서 69.3%로 2배 이상 증가했다.

2018년 기준 공유경제 경험자(2000명)에 제공된 공유경제 서비스는 차량공유가 33.5%로 가장 많았으며, 자전거공유 28.8%, 숙박공유 18.4% 순으로 나타났다.

또 경기도에서 추진해야 할 공유경제 서비스에 대해 자전거공유 20.1%, 주차장공유 20.0%, 차량공유 12.9% 순으로 응답했다.

성영조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2년 동안 공유경제 경험자가 2배로 늘어났다는 것은 공유경제에 대한 경기도민의 관심이 체험으로 이어졌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공유경제를 더욱 활성화하기 위해선 경기도의 적극적인 정책 대응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성 연구위원은 경기도 공유단체·공유기업 지정 방안으로 △공유기업·단체 지정 시 Top-down 방식과 Bottom-up 방식 모두 사용 △경기도 공유기업 선정평가 지표를 수요자, 공급자, 공유모델 측면으로 구분 제시 △지정된 공유단체·공유기업에 적절한 혜택 부여, 경기도·시·군과 협업기회 지원 등을 제안했다.

또 경기도 공유경제 활성화 방안으로 △경기도 공유경제 홍보플랫폼 구축·운영 △다양한 공유사업의 기획 및 홍보 △경기도 공유기업 발굴 육성 사업 지속적 추진 △경기도 공유경제 브랜드화 및 주기적인 도민의견 조사 실시 등을 제시했다.

성 연구위원은 “공유경제는 도민의 행복을 증진하고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훌륭한 방안이기 때문에 효과적인 공유경제 해법을 찾아 적용할 필요가 있다”며 “국가별, 지역별로 사회문제의 유형이나 원인 등이 다르기 때문에 경기도 맞춤형 공유모델을 개발해 지속적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공유경제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소유하기 보다는 필요에 의해 여럿이 공유하는 활동으로 전 세계적으로 점점 더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추세다.
저작권자 © 경인종합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