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인종합일보 김형천 기자] 경기도 기혼여성 절반이 ‘경력단절’ 경험


경기도 기혼여성 2명 중 1명은 경력단절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 가족여성연구원이 발간한 「경기도 경력단절여성 등의 경제활동 실태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2017 통계청 지역별고용조사 원자료 분석 결과 도내 만15~54세 노동가능 인구 중 기혼여성은 약 242만명이며 이 중 경력단절 상태에 있거나 경력단절 경험이 있는 여성은 절반 가량인 124만명으로 파악됐다.

보고서에서는 이러한 통계분석을 바탕으로 결혼과 임신ㆍ출산ㆍ육아 등의 이유로 경제활동을 중단한 경험이 있는 경기도 여성 1,000명을 대상으로 경제활동 실태와 정책요구를 조사하고 지원방안을 제시했다.

조사 결과, 경력단절을 경험한 여성들이 다시 일자리를 선택할 때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소로는 ‘적성과 능력’이 가장 높은 비율(24.1%)을 차지했으며 일가정 양립 가능성과 수입수준에 대한 응답이 그 뒤를 이었다. 반면 일자리 선택에서 애로사항으로는 ‘자녀육아’가 34.9%로 현저하게 높아 육아문제가 경력단절과 재취업 과정에서 중요한 요소라는 것을 보여준다.

경력단절 후 재취업한 여성을 대상으로 경력유지를 위한 정책 우선순위를 조사한 결과 ‘연령차별을 없애기 위한 노력’이 17.6%로 비교적 높게 나타나, 여성들이 재취업 이후에도 ‘중장년’으로 차별받은 경험을 드러내고 있었다.

한편, 현재 비취업 상태로 취·창업을 희망하는 여성들에게 필요한 지원정책으로는 ‘양질의 시간제 일자리 확대’가 필요하다는 응답이 24.2%로 가장 높아,자녀육아 등 일가정양립의 어려움으로 경력이 단절된 경험을 반영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그밖에도 유연근무제와와 장시간 근로문화 개선, 육아휴직과 보육시설 등 돌봄지원이 필요하다는 응답비율도 고르게 나타나 여성 경력단절 해소에 복합적인 정책접근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실태조사 결과에 따라 일가정양립 지원을 위한 근로시간의 성인지적 설계와 관리, 경력단절여성 재취업 지원을 위한 정보제공과 취업알선, 특성별 직업훈련과정 등, 경력단절예방과 재취업지원의 두 가지 측면에서 정책방향을 제안했다.

연구책임을 맡은 정형옥 선임연구위원은 “모성보호나 육아휴직과 같이 경력단절예방을 위한 정책이나 문화 개선이 중요하지만, 현실적으로 경력단절이 발생하는 상황에서는 재취업 지원을 위한 다양한 일자리 발굴과 취창업교육도 병행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경인종합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