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인종합일보 김형천 기자] 경기硏, ‘민관협치기구 활성화 방안보고서’ 발표


경기도와 31개 시·군에서 운영 중인 민관협치위원회의 기능 활성화를 위해선 위원회의 책임성 강화와 논의결과에 대한 정책반영 및 제도화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경기연구원은 15일 이같은 내용의 ‘경기도 내 민관협치기구 실태조사 및 활성화 방안보고서’를 발표하고, 위원회 활성화 방안으로 위원회 기능에 자문기능 외 심의·의결 기능 추가 등을 제안했다.

경기도와 31개 시·군 위원회 자문위원 10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위원회 제도 운영에 대해 ‘보통’ 내지 ‘불만족’이란 의견이 80.4%에 달했으며, ‘만족한다’는 의견은 19.6%에 그쳤다.

위원회 구성도 전체 위원의 50.5%를 행정부서의 자체추천으로 선정해 시민단체 및 일반시민 추천 등을 통한 위원 구성의 다양성 확보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위원회 운영 실태 전반에 대해서도 미흡하다는 인식이 많았다.

위원회 운영 과정에서의 ‘정보 제공이 부족하다’는 의견은 35.5%로 ‘충분하다’는 의견(15.9%)의 2배를 넘었다. 위원회 운영과 관련해서도 민간부문의 자율성과 주도성에 대해 부족하다는 의견(43.9%)이 활발하다는 의견(15.0%) 보다 3배 가까이 높게 나타났다.

또 위원회의 논의 결과에 대한 정책반영 및 제도화가 미흡하다는 의견도 53.3%를 달했으며 70.1%는 정책반영 체계의 강화가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조성호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위원들이 정책기획 단계 및 의제설정 단계뿐 아니라 사업집행기능과 평가기능 등 다양한 단계에 참여함으로써 실질적인 위원회의 권한을 강화시켜야 한다”며 “위원회 기능에 자문기능 외 심의·의결 기능을 추가해 위원 의견이 정책에 반영되고 제도화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위원회 활성화 방안으로는 △경기도 민관협치 활성화를 위한 기본 조례 개정 △위원회 기능에 자문기능 외 심의·의결 기능 추가 △시민단체 및 일반시민들 추천 등을 통해 위원회 위원 구성의 다양성 확보 △ 위원회 소속 위원들이 의제설정 뿐만 아니라 사업집행, 평가 등 다양한 단계에도 참여 △ 위원회의 개최 빈도 증가등을 제안했다.

조 연구위원은 “위원회 운영을 활성화하기 위해선 경기도 내 자문기구 성격의 위원회를 민관협치적 성격의 위원회로 강화해야 한다”며 “경기도 민관협치 활성화를 위한 기본 조례를 개정해 위원회의 법적, 제도적 기반을 명확하게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경인종합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